J Korean Acad Oral Health 2020; 44(4): 175-179
Published online December 30, 2020 https://doi.org/10.11149/jkaoh.2020.44.4.175
Copyright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Doh-Hyun Lee1† , Ji-Hye Kim1†
, Sagn-Uk Im1
, Yun-Sook Jung2
, Youn-Hee Choi1
, Keun-Bae Song1
1Department of Preven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Science &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Correspondence to:Keun-Bae Song
Department of Preventive Dentistry,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177 Dalgubeol-daero, Jung-gu, Daegu 41940, Korea
Tel: +82-53-660-6875
Fax: +82-53-423-2947
E-mail: kbsong@knu.ac.kr
https://orcid.org/0000-0002-5416-5500
†These authors contributed equally to this study and should be considered co-first authors.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mastic oil on a representative caries-inducing bacterium,
Methods:
Results: More than 0.1% of mastic oil inhibited the growth of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stic oil may be used as a preventive measure against dental caries.
Keywords: Antibacterial effect, Mastic oil,
전 세계 사람들이 앓고 있는 가장 흔한 만성질환 중 하나인 치아우식은 다양한 범위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수복치료 및 보철치료를 필요로 하여 그에 따른 치료와 유지보수의 비용 부담이 있는 대표적인 구강질환이다1). 치아우식은 구강 내 세균들이 치아표면 혹은 치은 하방 등에 집락을 이뤄 발생하는 치면세균막 내에서 세균과 탄수화물의 대사에 의해 생겨난 유기산이 법랑질의 탈회를 반복적으로 일으켜 유발되는 질환으로 숙주요인, 세균요인, 식이요인, 시간적 요인 등 여러 요소에 의해 유발되는 다인성 질병이다2-5).
한편, 매스틱은 그리스 키오스섬에서 자생하는
구강 관련 연구에서는 매스틱이 치태지수를 낮춰준다고 알려져 있다. Takahashi 등15)이 진행한 이중맹검연구에서 물리적인 구강위생 관리를 1주일간 하지 않고 매스틱 껌을 씹게 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치은지수 및 치태지수가 낮게 나타났으며, 이를 토대로 매스틱 껌의 항치면세균막 작용이 증명되었다. Aksoy 등16)은 매스틱 껌을 15분간 씹은 후 채취한 타액에서 측정된 세균의 총 수가 매스틱 껌을 씹기 전과 비교해 유의하게 감소한다고 하였다.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중 2015년 김 등17)의 국내 연구에 따르면 매스틱은 구강암세포의 성장억제 효과는 물론 세포사멸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항암제로서의 활용 또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구강과 관련한 연구들은 주로 구강 내에 매스틱을 적용하였을 때 바이오필름 형성억제 및 타액 내
본 연구에서 사용된 매스틱오일(The Chios Mastiha Growers Association, Chios, Greece)은
ATCC에서 분양받은
매스틱오일은 1% sucrose가 포함된 BHI 액체배지로 계단희석하여 농도가 0.2, 0.4, 0.6, 0.8, 1%가 되도록 매 단계마다 Vortex mixer (Vortex-Genie 2· Scientific Industries, USA)를 이용해 혼합 후 사용하였다. 농도별로 준비된 매스틱오일은 흡광도(Optical Density; OD)의 값을 0.05로 맞춘
매스틱오일의
매스틱오일이
매스틱오일이
수합된 자료는 통계분석용 소프트웨어인 SPSS 25.0 프로그램(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판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5%로 설정하였다. 매스틱오일 처리 농도에 따른
매스틱오일 처리를 하지 않은 음성대조군과 비교하여 매스틱오일 처리 농도 0.1%부터 흡광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able 1 . Optical density (600 nm) of each concentration of mastic essential oil after 16 hrs culture (Mean±S.D.).
Concentration of mastic oil (%) | OD600 |
---|---|
0% | 1.055±0.008‡ |
0.1% | 0.974±0.016†,‡ |
0.2% | 0.687±0.011†,‡ |
0.3% | 0.141±0.005†,‡ |
0.4% | 0.151±0.006†,‡ |
0.5% | 0.164±0.005†,‡ |
50% CHG | 0.120±0.008† |
<0.001 |
*Indicates overall significance over various concentration by the Kruskal-Wallis tes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stic oil and the negative control groups at each concentration by Bonferroni-corrected Wilcoxon’s rank sum test (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stic oil and the positive control groups at each concentration by Bonferroni-corrected Wilcoxon’s rank sum test (
매스틱오일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매스틱 오일 0.1%에서는 집락수의 차이가 육안으로 관찰 되지 않았으며, 0.2%부터 집락수의 감소가 관찰되기 시작했다. 매스틱 오일 농도 0.3%부터는
매스틱은 식물유래 천연물질로 주로 위장관계의 치료제로 고대부터 쓰여 왔으며, 여러 연구를 통해 항미생물, 항진균, 항염증 및 항암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된 물질이다9-17).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매스틱오일이 직접적으로
가장 먼저 매스틱오일이
매스틱오일은 0.2%에서부터는
본 연구에서는 매스틱오일의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오일 형태의 매스틱을 사용함으로써 분말이나 수지 형태의 매스틱에 비해 용매나 유화제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결과를 도출해 냈다는 점에 의의를 가진다. 또한 매스틱을 용매에 녹여내
본 연구에서 매스틱과
1. 매스틱오일이
2. 매스틱오일이
3. 매스틱오일이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매스틱오일은
*이 논문은 (주)호치의 일부 지원에 의해 수행된 연구임.
![]() |
![]() |
![]() |
![]() |
![]() |
![]() |
© 2020 © Copyrigh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