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KAO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ISSN(Print) 1225-388X ISSN(Online) 2093-7784

Article

Home All Articles View

Editorial

J Korean Acad Oral Health 2023; 47(3): 91-92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2023 https://doi.org/10.11149/jkaoh.2023.47.3.91

Copyright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Embracing AI in research: ethical considerations and the future of preventive dentistry

Bo-Hyoung Jin

Editor-in-Chief of the Korea Academy of Preventive Dentistry and Oral Health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The term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has become increasingly relevant in today’s world as tools like ChatGPT become part of our daily lives.

Decades ago, the lifelike robots in The Terminator were just a figment of our imagination. But as robotics and AI industries evolved, these once-fantastical concepts are now increasingly closer to reality.

Many of us would like to believe that no matter how advanced AI gets, it will never be able to replicate and replace human creativity. However, with the advent of tools like ChatGPT, there is a growing concern that we risk becoming subservient to machines if we do not protect the sanctity of human creativity.

So, what are we researchers to do in the face of this technological tide? A recent seminar addressed the crucial topic of “To what extent is it acceptable to use ChatGPT in academic writing?”. The discussion highlighted the need for a consensus among researchers on the extent to which AI should be involved in research.

According to Elsevier’s global research project ‘Research Future (2022)’, 47% of real-world scientists expect to rely more heavily on AI in the future, and they primarily use it to analyze research results, find data flaws or problems, and generate new hypotheses.

In healthcare, AI can predict patients potentially at risk and manage resources.

Moving forward, several studies in preventive dentistry are expected, such as oral disease prediction studies using AI along with patient management, optimization, and modelling studies. However, with the proliferation of AIbased research, multiple issues may arise, such as authorship debates, integrity of AI training data, responsibility for inaccurate research results, and ownership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us, the question remains if we should accept AI as a co-author, and if not, we need to decide the level to which we should allow AI to be used. It is the need of the hour to seriously consider the AI aspect from the beginning of research to the utilization and be prepared to share the results with many researchers.

September 2023

최근에 ChatGPT와 같은 도구가 우리 일상생활에 사용하게 되면서 ‘인공지능의 시대’라는 용어가 점점 더 널리 퍼지고 있다. 수 십 년 전 영화 ‘터미네이터’에 나오는 실물 같은 로봇은 단지 우리의 창의력이 만들어 낸 영화 속의 한 장면에 불과했다. 그러나 로봇 공학과 AI 산업이 발달하면서 한때는 환상적이었던 이러한 개념이 이제는 현실에 가까워졌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많은 사람들 사이에는 AI가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인간의 창의성을 복제할 수 없다는 믿음이 남아 있다. 그러나 ChatGPT와 같은 도구가 등장하면서 인간 창의성의 신성함을 보호하지 않으면 기계에 종속될 위험이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기술적 흐름 속에서 우리 연구자들은 무엇을 해야 할까? 최근 한 세미나에서 학술 논문 작성에 ChatGPT 사용을 어느 정도까지 허용하는 것이 가능한가? 라는 주제가 다루어졌다. 이는 AI가 연구에 어느 정도 활용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연구자 간에 합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었다.

Elsevier의 글로벌 연구 프로젝트 Research Futures (2022)에 따르면 실제 과학자들의 47%가 향후 AI 의존도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었고, 이들은 주로 연구 결과분석, 데이터 결함이나 문제 발견, 새로운 가설을 수립하기 위해 AI를 사용한다고 하였으며, 의료 분야에서는 AI를 잠재적 위험에 처한 환자 예측과 자원 관리에 활용하고 있었다.

앞으로 우리 예방치학 분야에서도 AI를 활용한 구강병 예측 연구나 환자관리 최적화 모델링 연구 등 많은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AI를 활용한 이런 연구가 확산됨에 따라 저자 여부 논쟁, AI 학습 데이터의 무결성, 부정확한 연구 결과의 책임 소재, 지적재산권의 소유 등 많은 문제가 파생될 수 있다.

과연 우리는 AI를 공동 저자로 받아들일 수 있는가? 그렇지 않다면 어느 수준까지 AI 사용을 허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예방치학 연구의 시작부터 성과 활용에 이르는 전단계에 걸쳐서 진지하게 고민하고, 많은 연구자들과 그 결과를 공유할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2023. 9.